Ubuntu export 명령어 (.NET)

📄 Ubuntu export 명령어 1️⃣ 개요 export 명령어는 현재 셸 환경에 환경 변수를 등록하거나 수정하는 데 사용 등록된 변수는 현재 셸과 그 자식 프로세스에서 사용할 수 있음 2️⃣ 기본 문법 3️⃣ 특징 4️⃣ 확인 방법 💡 .NET에서의 사용 예시 1️⃣ ASP.NET Core에서 환경 지정 프로젝트 유형 권장 환경 변수 이유 ASP.NET Core 웹앱 ASPNETCORE_ENVIRONMENT 웹 […]

Ubuntu export 명령어 (.NET) 더 읽기"

Docker 백그라운드 실행 명령어

1. Docker 백그라운드 실행 명령어 컨테이너를 백그라운드(detached) 모드로 실행하여 터미널을 점유하지 않고 계속해서 동작하게 하는 명령어 2. 실행 중인 컨테이너 확인 명령어 현재 시스템에서 실행 중인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명령어 3. 모든 컨테이너 확인 명령어 (실행 중 + 정지) 실행 중인 컨테이너뿐만 아니라, 이전에 실행되었다가 현재는 정지된 모든 컨테이너를 확인하는 명령어 4. 기타 유용한 명령어

Docker 백그라운드 실행 명령어 더 읽기"

Docker Port Mapping(포트 매핑)

Docker 포트 매핑 (Port Mapping) Docker에서 포트 매핑은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의 포트와 호스트 컴퓨터(Docker가 설치된 머신)의 포트를 연결하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포트 매핑 왜 필요한가? Docker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됩니다. 즉, 컨테이너 내부에 웹 서버가 80번 포트에서 동작하더라도, 외부에서는 이 포트에 직접 접근할 수 없습니다. 컨테이너는 자체적인 IP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호스트 컴퓨터와는

Docker Port Mapping(포트 매핑) 더 읽기"

Docker에서 HTML 페이지 배포

Docker에서 HTML 페이지 배포 기본적으로 웹 서버로 이동하여 HTML 페이지를 렌더링 웹 서버 nginx 이미지 가져오기 index.html 파일을 준비 nginx 이미지를 사용하여 Docker 컨테이너에 로드 Dockerfile 생성 도커파일은 확장자가 없음 Dockerfile 이미지 생성 도커파일은 확장자가 없음 컨테이너를 생성 및 실행

Docker에서 HTML 페이지 배포 더 읽기"

기본적인 Docker 명령어 연습

기본적인 Docker 명령어 항목 의미 docker run 새로운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 -d Detached mode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ubuntu 사용할 이미지 이름 (없으면 자동으로 Docker Hub에서 pull함) sleep 10 컨테이너 내부에서 실행할 명령어 (10초 동안 대기) .NET Image 추가 두 항목의 IMAGE ID가 동일REPOSITORY: mcr.microsoft.com/dotnet/sdkTAG: 9.0 → IMAGE ID: 08fe223b9022TAG: latest → IMAGE ID: 08fe223b9022이유: latest

기본적인 Docker 명령어 연습 더 읽기"

Docker / Virtual Machine 차이점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가상화 기술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전통적인 가상머신(Virtual Machine)과 Docker 컨테이너 기술의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1. 아키텍처 비교 1.1 Virtual Machine 아키텍처 Virtual Machine은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집니다: 특징: 1.2 Docker 아키텍처 Docker는 다음과 같은 경량화된 구조를 가집니다: 특징: 2. 핵심 차이점 분석 2.1 운영체제 레이어 구분 Virtual Machine Docker Guest OS 필수 불필요

Docker / Virtual Machine 차이점 더 읽기"

Quota (쿼터)

Quota (쿼터) 리눅스에서 쿼터(Quota)는 사용자 또는 그룹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공간 및 파일 개수를 제한하는 시스템 관리 도구 디스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특정 사용자가 시스템 디스크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 파일 시스템을 “/” (root) 로 지정하는 것보다는, 별도의 파일시스템을 지정해서 해당 부분을 쓰도록 하는 것이 좋음 “/” (root)을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게되면, 우분투

Quota (쿼터) 더 읽기"

Ubuntu – LVM (Logical Volume Manager)

LVM (Logical Volume Manager) LVM은 리눅스 환경에서 유연하고 효율적인 디스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논리 볼륨 관리 시스템 디스크 공간을 논리적으로 관리하고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디스크 파티션에 의존하지 않고도 유연한 디스크 관리를 가능하게 함 LVM 주요 개념 3가지 1. Physical Volume (PV) 실제 물리적 디스크 또는 디스크의 파티션 예: /dev/sda1, /dev/sdb1 pvcreate 명령으로 생성

Ubuntu – LVM (Logical Volume Manager) 더 읽기"

Ubuntu – Hard disk management (Add Disk)

현재는 물리적인 하드디스크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 fdisk를 이용하여 파티셔닝을 해주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n 명령어를 입력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 파티션 타입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p를 입력하여 기본 값인 primary 파티션을 선택 파티션 번호를 1로 설정 (기본적으로 MBR은 최대 4개의 주 파티션을 지원) 첫 번째 섹터를 기본 값인 2048로 설정(섹터 2048까지의 공간은 일반적으로 디스크의 메타데이터, 부트 로더, 파티션

Ubuntu – Hard disk management (Add Disk) 더 읽기"

Ubuntu – root password 분실 해결법

root 사용자의 비밀번호 분실 전원을 작동하고 [ESC] Key를 이용하여 GNU GRUB (GNU GRand Unified Bootloader)를 실행한다. [e] Key로 edit 모드 진입 키보드의 방향키로 가장 아래 페이지로 이동 inti=/bin/bash 추가 후 ctrl + x 또는 F10 으로 재부팅 init=/bin/bash는 Linux 부팅 옵션 중 하나로, 시스템이 부팅될 때 초기화 프로세스를 /bin/bash 셸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 /bin/bash 셸로

Ubuntu – root password 분실 해결법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