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https://www.acmicpc.net/problem/9205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제출 | 정답 | 맞힌 사람 | 정답 비율 |
|---|---|---|---|---|---|
| 1 초 | 128 MB | 24063 | 9720 | 7109 | 39.499% |
문제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
즉, 50미터를 가려면 그 직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
따라서,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
편의점에 들렸을 때,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
하지만, 박스에 들어있는 맥주는 20병을 넘을 수 없다.
편의점을 나선 직후에도 50미터를 가기 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편의점, 상근이네 집,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좌표가 주어진다.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도착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t ≤ 50)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맥주를 파는 편의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 (0 ≤ n ≤ 100).
다음 n+2개 줄에는 상근이네 집, 편의점,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좌표가 주어진다.
각 좌표는 두 정수 x와 y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값 모두 미터, -32768 ≤ x, y ≤ 32767)
송도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생긴 도시이다.
두 좌표 사이의 거리는 x 좌표의 차이 + y 좌표의 차이 이다. (맨해튼 거리)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갈 수 있으면 “
happy”, 중간에 맥주가 바닥나서 더 이동할 수 없으면 “sad”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2 2 0 0 1000 0 1000 1000 2000 1000 2 0 0 1000 0 2000 1000 2000 2000
예제 출력 1
happy sad
출처
ICPC > Regionals > Europe > Northwestern European Regional Contest > German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 > GCPC 2013 D번
- 문제를 번역한 사람: baekjoon
- 문제의 잘못된 점을 전체적으로 찾은 사람: jh05013
- 어색한 표현을 찾은 사람: ljh6274
- 문제의 오타를 찾은 사람: mwy3055
- 데이터를 추가한 사람: rhdqor213
알고리즘 분류
통과된 코드
50미터마다 맥주를 1병씩 소모, 최대 수량은 20병, 따라서 최대로 움직일 수 있는 거리는 1000미터다.
입력 받은 편의점의 위치에서 1000미터 내로 도달할 수 있는 편의점을 탐색 후
해당 위치에서 다시 편의점을 찾는 방법으로 해결하였다. (재귀로 구현)
다른 분들의 풀이를 보면 BFS 탐색으로 풀 수 있는 듯 하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cmath>
using namespace std;
constexpr int MAX = 101;
int T, N;
vector<pair<int, int>> graph[MAX];
bool isVisted[MAX], check;
pair<int, int> Start, Temp;
void DFSSearch(int x, int y)
{
// 도착이 가능하다면 마킹하고 리턴
if (x == graph[N][0].first && y == graph[N][0].second) {
check = true;
}
for (int i = 0; i <= N; i++) {
// 방문 했다면 넘어간다.
if (isVisted[i] == true) continue;
// 거리의 절대값으로 도착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체크
if (abs(graph[i][0].first - x) + abs(graph[i][0].second - y) <= 1000) {
isVisted[i] = true; // 방문 체크
DFSSearch(graph[i][0].first, graph[i][0].second);
// isVisted[i] = false; // 방문 체크를 해제하면 시간초과
}
}
}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 scanf와 동기화를 비활성화
// cin.tie(null); 코드는 cin과 cout의 묶음을 풀어줍니다.
cin.tie(NULL);
cout.tie(NULL);
cin >> T;
while (T--) {
// 조건 초기화
fill(isVisted, isVisted + MAX, false);
for (int i = 0; i < MAX; i++) graph[i].clear();
check = false; //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탐색
// 시작 위치를 입력
cin >> N >> Start.first >> Start.second;
for (int i = 0; i <= N; i++) {
// 편의점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cin >> Temp.first >> Temp.second;
// 마지막은 도착 위치를 입력받는다.
graph[i].push_back(make_pair(Temp.first, Temp.second));
}
DFSSearch(Start.first, Start.second);
if (check) cout << "happy\n";
else cout << "sad\n";
}
return 0;
}
재귀 탐색에서 사용하는 방문 체크 해제에 대한 문제로 시간 초과가 발생하였다.
DFS를 나갈 때 visited를 다시 false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생각


![백준 11724번 (연결 요소의 개수, C++, DFS) / 추가 반례 [BAEKJOON]](https://lycos7560.com/wp-content/uploads/2022/10/boj-og-1-2048x1070-1-1024x535.png)
![백준 11051번 (이항 계수 2, C++, DP) [BAEKJOON]](https://lycos7560.com/wp-content/uploads/boj-og.png)
![백준 23794번 (골뱅이 찍기 – 정사각형, C++) [BAEKJOON]](https://lycos7560.com/wp-content/uploads/boj-og-1.png)